튤립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튤립 혁명은 2005년 2월 키르기스스탄 의회 선거의 부정 의혹으로 촉발된 대규모 시위로,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의 퇴진을 이끌어낸 사건이다. 선거 결과 발표 후 전국적으로 시위가 발생하여 정부 청사 점거, 대통령의 국외 도피, 과도 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튤립 혁명은 조지아의 장미 혁명,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 등과 유사하며, 미국 등 외국의 지원을 받았다. 2005년 7월, 쿠르만베크 바키예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임시 정부의 문제점과 새로운 선거 과정에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혁명 -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은 경제난, 공공요금 인상, 부패, 족벌주의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폭발하여 쿠르만벡 바키예프 대통령의 퇴진과 과도 정부 수립을 초래한 정치적 격변이다.
튤립 혁명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튤립 혁명 |
로마자 표기 | Choogazyn revoliutsiiasy |
러시아어 명칭 | Тюльпановая революция |
주요 정보 | |
시기 | 2005년 3월 22일 – 2005년 4월 11일 |
장소 | 키르기스스탄 |
원인 | 권위주의 부패 경제 위기 2005년 키르기스스탄 의회 선거 결과 |
목표 | 2005년 의회 선거 무효화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 및 니콜라이 타나예프 총리 사임 |
결과 |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 및 정부 전복 쿠르만베크 바키예프가 대통령 권한대행 및 총리 권한대행으로 취임 야당의 권력 장악 2005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선거 |
교전 세력 | |
제1측 | 야당 사회민주당 켈켈 |
제2측 | 정부 국가안보위원회 특수작전부대 내무부 내무군 SOBR 군 |
주요 인물 | |
제1측 지도자 | 쿠르만베크 바키예프 로자 오툰바예바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 펠릭스 쿨로프 |
제2측 지도자 | 아스카르 아카예프 니콜라이 타나예프 이셴바이 카디르베코프 |
피해 규모 | |
기타 | |
관련 사건 | 색깔 혁명 |
2. 기원
혁명 초기 언론에서는 이 사건을 "핑크",[1] "레몬",[2] "실크", "수선화" 혁명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그러나 아카예프 대통령이 키르기스스탄에서 ""색깔 혁명"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는 연설에서 "튤립 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이 이름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3] 이러한 색깔이나 꽃 이름을 사용한 것은 조지아의 장미 혁명,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2004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벨벳 혁명(1989년),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1974년)과 같은 비폭력 혁명들과 유사성을 떠올리게 했다.
2005년 의회 선거에서 아카예프 지지 세력이 승리한 것으로 발표되자,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되면서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했다.[5]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는 키르기스스탄 정부를 비판하며 선거 과정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자랄라바트, 오쉬, 우즈겐을 포함한 서부와 남부 도시에서 시위가 시작되었다. 2005년 3월 3일, 야당 지도자 로자 오툰바예바의 아파트에서 폭탄이 터졌으나, 아카예프 정부는 책임을 부인했다.
로자 오툰바예바는 키르기스스탄 반대파의 잠재적 지도자였다. 1981년 그녀는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레닌 "라이콤"(지구 위원회)의 제2서기였다. 2005년까지 오툰바예바의 정치적 신념은 서서히 서구화되었다. 혁명 이후 오툰바예바는 임시 정부에서 외무장관 대행 및 미국과 영국 대사로 활동했다.[4] 2005년 3월 21일 자랄라바드 시위에서 오툰바예바는 "고위 장교를 포함한 경찰관들이 제복을 벗고 사복으로 갈아입고 우리 진영에 합류했다. 그래서 우리는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다."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국무부, USAID, 라디오 자유 유럽/자유 라디오, 프리덤 하우스를 통해 키르기스스탄의 반정부 언론 매체와 단체, TV 방송국에 자금을 지원하여 반정부 시위를 지원했다.[6] 키르기스스탄의 한 공익사업체가 반정부 언론 매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자, 미국 대사관은 비상 발전기를 제공하기도 했다.[6]
2005년 3월 24일,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은 가족과 함께 키르기스스탄을 탈출했다. 그는 먼저 카자흐스탄으로, 그 후 러시아로 피신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망명을 허용했다.[7] 아카예프는 2005년 4월 3일 사임 의사를 밝혔고, 이는 4월 11일 과도 정부에 의해 수리되었다.
임시 정부는 비슈케크에서 농민들의 토지 권리 주장에 직면했다. 경찰은 무장 농민들의 강제 토지 몰수를 막지 못했고, 이와 관련된 사건으로 비슈케크 민간 순찰대 지도자 우산 쿠다이베르게노프가 살해되었다.[8]
2005년 7월 10일,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바키예프가 90%의 득표율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다음 날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펠릭스 쿨로프는 총리로 임명되었다.[8] 바키예프는 88.7%의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그의 상대 후보는 4%를 얻었다.
[1]
뉴스
Pink revolution rumbles on in blood and fu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5-03-27
기비 타르가마제는 조지아 자유연구소 전 회원이자 조지아 의회 국방 및 안보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인물로, 우크라이나 야당 지도자들에게 비폭력 투쟁 기술을 자문했다. 그는 나중에 튤립 혁명 동안 키르기스스탄 야당 지도자들에게도 조언을 제공했다.[4]
3. 선거 후 폭력 사태
2005년 3월 10일, 키르기스스탄 인민운동 지도자 쿠르만베크 바키예프가 비슈케크 의회 건물 앞에서 시위대에 합류했다. 바키예프와 22명의 야당 의원들은 아카예프 정부에 대한 상징적인 불신임 투표를 실시했다.
선거 부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한 사람들 중에는 전 외무장관이자 주영국, 주미국 대사를 지낸 로자 오툰바예바와 전 총리 쿠르만베크 바키예프 등이 있었다. 바키예프는 2002년 악시 남부 마을에서 경찰이 비폭력 시위대에게 발포하여 5명이 사망한 사건의 책임을 지고 해임된 인물이었다.
3월 18일, 수백 명의 시위대가 자랄라바드 주 남부 도시의 시청과 비슈케크의 정부 청사를 점거했다. 또한 토크토굴 남부 마을에서는 항의 활동을 벌이던 시민들이 지역 행정관과 지역 검찰청장을 체포했다. 이들은 아카예프 정권과 결탁하여 선거에서 부정 행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았다.
3월 19일, 비슈케크에서는 3천 명, 자랄라바트에서는 5만 명이 공개 시위에 참여했고, 오시에서는 수천 명의 시민들이 쿠릴타이(Курултай)라 불리는 집회를 열고 지방 정부에 대항하여 국민평의회를 설립하고, 평행 정부 수립을 선언했다. 지도자 중 한 명인 안바르 아르티코프는 "우리는 모든 요구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이 정부를 유지할 것이다"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3월 20일, 시위대가 정부 건물을 점거하자 키르기스스탄 정부는 자랄라바트와 오쉬에 내무부군을 배치했다. 같은 날, 시위대는 남부 지역의 모든 대도시를 장악하고 아카예프의 사퇴를 요구했다. "켈켈"("르네상스와 선의 빛") 청년 운동이 시위에서 활동적이었다. 같은 날 새벽, 경찰 당국은 무력을 사용하여 청사를 탈환하려 했고, 시민과 경찰 모두 부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각지에서 수백 명의 시민이 일시적으로 체포되었다. 그 후 자랄라바드 주에서 민중은 다시 청사를 점거하려고 몰려들었다. 투석하던 시위대는 경찰서를 공격했고, 경찰관들도 지붕에 올라가 공중으로 경고 사격을 가했다.
3월 21일, 비슈케크에서 약 1000명의 시위대가 지방 정부 청사와 경찰서, 방송국, 공항을 점거했다. 많은 치안 부대가 무사히 도주했지만, 시내 광장에서 말을 타고 행진하던 군인들을 폭도화된 시민들이 붙잡아 2명을 살해했다. 같은 날 오툰바예바는 자랄라바드의 경찰 대다수가 자신들의 편에 섰다고 말했다.
3월 22일, 항의 시위대에 의해 프루트 남부에 있는 마을의 다른 정부 청사가 공격당했다. 아카예프는 시위대와의 협상을 거부했다. 71명의 의원 중 10명이 시위대 편에 섰다.
3월 23일, 수도 비슈케크에서 처음으로 시위를 하려던 수백 명의 군중이 시내 중앙 광장에 모였지만, 경찰은 시위 행진이 시작되기 전에 군중을 해산시켰다. 그 과정에서 경찰은 군중 일부를 몽둥이로 때리고 많은 구경꾼을 체포했다. 또한 항의 시위는 카담자이 남부, 탈라스 북부 마을과 코추코르 아타에서도 일어났다. 같은 날, 아카예프는 반정부 운동이 확대되고 대응에 실패했다는 이유로 내무장관 바키르딘 수반베코프와 검찰총장 믹티벡 아브딜다예프를 해임했다.
유럽안보협력기구(OSCE)는 결선 투표 감시단으로 60명을 파견했다. 초기 평가에서 감시단은 2차 투표가 1차 투표보다 다소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심각한 문제가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OSCE는 1차 투표에 대해 여러 면에서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독립국가연합(CIS)에서 파견된 선거 감시단은 이를 부정했다. 결선 투표는 제대로 준비되었고 자유롭고 공정하게 치러졌다고 평가했다.[13]
초기 폭동 이후 국제 여론은 긴장 고조에 대해 즉각적으로 진정과 평화적인 해결을 촉구했다.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는 양측에 대화를 통해 차이점을 해결하도록 촉구했고, 유엔 코피 아난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선거와 정치 문제 해결을 위해 폭력과 위협이 사용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외무부는 불안정한 상황에 대해 반정부 세력의 행동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우즈베키스탄 외무부는 “우즈베키스탄 국민은 키르기스의 가까운 이웃이며, 키르기스, 특히 남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에 우려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4. 잠재적 지도자들
쿠르만베크 바키예프는 또 다른 잠재적 지도자였다. 2002년 바키예프는 남부 도시 아스키에서 경찰이 평화 시위대 5명을 사살한 후 키르기스스탄 총리직에서 사임했다.[4]
안바르 아르티코프는 이전 오시 주지사였다. 그는 전통적인 몽골과 튀르크계 반대파 의회인 "쿠루르타이"의 지지를 받았다.[4] 아르티코프는 "우리의 모든 요구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이 권한(병행 행정)을 유지할 것이다. 우리는 임시 권력이다. 현 정부가 국민이 신뢰하는 정부로 대체될 때 우리의 임무 수행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5. 외국의 지원
월스트리트 저널과 뉴욕 타임스 등은 미국 정부와 민간 부문의 재정 지원으로 인쇄용 자재와 출판물이 보급되어 반정부 시위대의 행진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데 기여했다고 보도했다.[6]
6. 정권 교체
아카예프 대통령이 도피하자, 니콜라이 타나예프 총리도 사임했다. 야당은 텔레비전 방송국 등 주요 국가 기관을 장악했고, 경찰은 해산되거나 시위대에 합류했다. 펠릭스 쿨로프를 포함한 투옥되었던 야당 지도자들이 석방되었다. 키르기스스탄 대법원은 2005년 키르기스스탄 의회 선거 결과를 무효화했다.[7]
쿠르만베크 바키예프가 과도 정부의 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되었다. 비슈케크에서는 상점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약탈, 건물 방화 등이 발생하여 3명이 사망하는 등 혼란이 발생했다. 바키예프는 펠릭스 쿨로프를 내무부 장관 대행으로 임명했고, 쿨로프는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평정을 호소했다. 2005년 3월 26일, 아카예프의 무장 지지자들이 비슈케크 진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7] 2005년 3월 28일까지 점진적인 정치적 안정이 이루어졌다.
과도 정부는 2005년 7월 10일을 대통령 선거일로 발표했다. 2005년 5월 13일, 바키예프와 쿨로프는 대통령 선거에 함께 출마하기로 합의했다. 바키예프가 대통령이 되면 쿨로프를 총리로 임명하는 조건이었다. 이 동맹은 2007년 1월까지 지속되었으며, 국가의 북부와 남부를 통합하고 우즈베키스탄의 안정에 기여했다.[8]
7. 임시 정부의 문제점
2005년 3월 24일, 아카예프 전 대통령의 일기가 부패 증거로 제시되면서 시민, 공무원, 은행가, 비정부기구 대표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아카예프 정부의 부패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2005년 4월 21일, 위원회는 아카예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아카예프 가족이 지배한 42개 기업에 대한 세부 정보를 발표했다.[8] 과도 정부는 아카예프가 폭력과 체포를 통해 정부에 대한 평화로운 정치적 시위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다.[8]
2005년 5월 13일, 우즈베키스탄 안디잔 대학살 사건으로 최대 6,000명의 우즈베키스탄 난민들이 키르기스스탄으로 들어왔다. 이들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강경 조치로 돌아갈 수 없었다.[8] 처음에는 바키예프가 인권 운동가들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우즈베키스탄 정부를 지지했지만, 이후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아 키르기스스탄 임시 정부는 안디잔 난민들에게 법적 지위를 부여했다. 국제 NGO들은 난민들에게 숙소, 음식, 물 등을 제공했다. 그러나 2005년 6월 9일, 네 명의 우즈베키스탄 난민이 본국으로 송환되었는데, 쿨로프는 이들이 강간이나 살인 혐의 또는 유죄 판결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8]
아카예프는 바키예프 반부패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했다. 또한 자신에 대한 부패 혐의가 부정확하다며 키르기스스탄 신문 기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아카예프의 딸 베르메트 아카예바는 명예훼손과 의회 선거 출마 방해를 이유로 키르기스스탄 중앙선거위원회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했다. 혁명 당시 압수되었던 아카예프의 개인 소지품 일부가 그에게 반환되었다.[8]
8. 새로운 선거
유럽안보협력기구(OSCE)는 60명의 관찰자를 파견하여 선거를 감시했다. OSCE는 초기 평가에서 선거 과정이 "1차 투표보다 기술적으로 다소 개선되었다"라고 밝혔지만, "중대한 결함"도 지적했다.[13]
독립국가연합(CIS) 선거 감시단은 이와 다른 견해를 보였다. 이들은 선거가 잘 조직되었고, 자유롭고 공정하게 치러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CIS 감시단은 일부 지역에서 지방 정부가 정치적 불안에 대해 자제력과 대응 능력을 보여주었다고 칭찬했다. OSCE와 CIS 선거 감시단의 상반된 결과는 계속되었으며, 러시아는 CIS 보고서를 지지하고 OSCE의 결과를 비판했다.[13]
참조
[2]
웹사이트
Untitled
http://www.timesonli[...]
Timesonline.co.uk
2024-09-01 #dead link date를 date 필드로 사용. 정확한 발행일이 없으므로 임의의 날짜를 설정함.
[3]
뉴스
Moscow and multipolarity
https://web.archive.[...]
The Hindu
2004-12-30
[4]
웹사이트
Georgian advisors stepping forward in Bishkek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5]
잡지
A tulip revoluti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6-06-09
[6]
뉴스
In Putin's Backyard, Democracy Stirs -- With U.S. Help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5-02-25
[7]
웹사이트
Government and opposition concerned over Kyrgyz unrest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org
2005-03-01 #월까지만 정보가 있으므로 임의의 날짜 설정.
[8]
서적
The Tulip Revolution: Kyrgyzstan one year after.
The Jamestown Foundation
[9]
뉴스
Kyrgyz MP shot dead in Bishkek
http://news.bbc.co.u[...]
BBC
[10]
뉴스
Protests force Kyrgyz poll review
http://news.bbc.co.u[...]
BBC
[11]
뉴스
U.S. Helped to prepare the way for Kyrgyzstan's Uprising
https://nytimes.com/[...]
The New York Times
2005-03-30
[12]
웹사이트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9-02-17
[13]
뉴스
Protests force Kyrgyz poll review
http://news.bbc.co.u[...]
英国放送協会
2005-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